해상무기·장비

[장훈의 네이비 웨폰파일]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有美조아 2015. 4. 10. 22:22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Oliver Hazard Perry Class Frigate)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은 1970년대에 미 해군이 주력으로 운용중인 녹스(Knox)급의 뒤를 이어 건조된 전투함이다.(사진출처: 미 해군)


 

 

개요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은 1970년대에 미 해군이 주력으로 운용중인 녹스(Knox)급의 뒤를 이어 건조된 전투함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후에 취역한 플레처, 알렌 M. 섬너, 기어링급 FRAM(Fleet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 개량형 구축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배스 아이언 웍스(Bath Iron Works)와 토드 조선소(Todd Shipyards)에서 동시에 건조되었다. 이후 1977년부터 1989년까지 미 해군 51척과 호주로부터 의뢰받은 4척까지 총 55척이 제작되었다. 건조 목적은 제3차 세계대전 발발시 대서양으로 통해 미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호송선단들이 GIUK 라인을 뚫고 내려온 소련 잠수함들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1977년부터 1989년까지 미 해군 51척과 호주로부터 의뢰받은 4척까지 총 55척이 제작되었다.(사진출처: 미 국방부)

 

 

 

 

함의 수명이 많이 남은 상태여서, 외국 해군에 중고로 매각되어 주력함으로 운용하게 된다.(사진출처: 미 해군)


 

 

대공방어에서는 녹스급에 탑재 된 시스패로우 대공 미사일 수준의 개함 방공능력으로 부족하다고 판단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전에 녹스급을 건조하기전 브룩(Brooke)급을 건조하였으나, 건조비용이 비싸서 6척만 건조했다. 때문에 부족한 물량을 채울 방법을 찾고자 1970년대 중반부터 구체적으로 신형함정에 대한 계획 검토가 진행되었으며, 미 해군 수뇌부에서는 건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배수량 3,000여 톤에 승조원 200여명이 탑승 할 수 있는 조건으로 개발을 시작 그 결과 페리급이 탄생하게 된다.

 

 

미국과 소련의 냉전시대가 끝나고 나중에 연안에서의 활동 위주로 임무가 변경된 탓에, 상당수의 함정들은 예정되었던 함의 수명을 채우지 못 한 채 1994년부터 퇴역하게된다. 그러나 함의 수명이 많이 남은 상태여서, 외국 해군에 중고로 매각되어 주력함으로 운용하게 된다. 비록 저렴하게 건조되었지만 강력한 대공, 대잠전 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후속함을 건조하면서 문제점을 개선하는 등 면밀한 부분까지 신경 쓰기도하였다.

 

 

 

 

SH-2G 헬기가 탑재만 이루어졌던 단선체형의 헬기 데크(사진출처: 미 해군)

 

 

 

 

MH-60R을 운용 할 수 있도록 선체 길이 및 배수량이 늘어난 장선체형의 헬기 데크(사진출처: 미 해군)


 

 

페리급 구분


페리급 호위함은 단선체형과 장선체형으로 두 가지로 구분되어져 건조되었다. 이는 전투함에 운용되는 해상작전 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단선체형은 LAMPS I 기종인 SH-2G가 탑재되며, 장선체형은 기체가 길어지고 무거워진 SH-60(MH-60R)을 운용 할 수 있도록 선체 길이 및 배수량이 늘어났다.


 

 

외국 자체건조형

 

 

 

페리급의 장선체형 면허생산형으로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총 6척이 실전 배치되었다.(사진출처: 미 해군)


 

 

스페인 해군 F80 혹은 산타 마리아(Santa María)급


1980년대 스페인 해군이 페리급의 장선체형 면허생산형으로 근접방어체계로는 메로카(Meroka) 20mm 12연장 CIWS를 탑재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총 6척이 실전 배치되었다. 지난 2000년부터 모든 함정들이 일부 센서들이 개량화가 이루어졌는데 거주성 문제로 예인소나가 철거되었다.

 

 

 

 

페리급 장선체형을 면허생산으로 통해 2척을 자체적으로 건조 1992~93년도에 실전 배치되었다.(사진출처: 미 해군)


 

 

호주 해군 애들레이드(Adelaide)급


호주 해군은 페리급 장선체형을 면허생산으로 통해 2척을 자체적으로 건조 1992~93년도에 실전 배치되었다. 지난 2004년부터 호주는 애들레이드급 4척에 대한 개량화가 진행되었다. 특징으로는 함수에 8셀의 수직 발사기를 탑재하여 ESSM 32발과 단장 발사기에서는 SM-2MR이 운용 가능하도록 개량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미국으로부터 지원하에 면허생산으로 대만 조선소에서 건조가 진행되었다.(사진출처: wiki)

 


 

대만 해군 청궁(Cheng Kung/成功)급


1990년대 미국으로부터 지원하에 면허생산으로 대만 조선소에서 건조가 진행되었다. 기존의 센서들은 페리급과 동일하나, 청궁급에는 예인소나 탑재하지 않았다. 마스트 중간 사이에 자국산 슝펑 2, 3 함대함 미사일과 함중앙 양옆에는 보포스 40mm 기관포가 탑재되었다.

 

 

 

 

페르시안 만에서 이라크 공군의 미라주 F1에서 발사 된 두발의 엑조세 공대함 미사일에 의해 CIC가 피격되었다.(사진출처: 미 해군)

 

 

 

 

페르시안 만에서 소련제 M-08 기뢰로부터 공격당해, 기관실에 315톤가량의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사진출처: 미 정부)


 

 

실전참여


페리급은 페르시안 만 탱커워 작전, 사막의 폭풍작전, 환태평양 훈련, 발틱해 해상합동훈련, 한•미 팀스피릿(Team Spirit) 훈련, 나토 훈련, 소말리아 인근 해역서 해적 퇴치임무등을 수행했다.

 

 

지난 1987년 이란-이라크 전쟁 중 유조선들을 보호하기 위해 파견 된 USS 스타크 (FFG-31)함이 페르시안 만에서 이라크 공군의 미라주 F1에서 발사 된 두발의 엑조세 공대함 미사일에 의해 CIC가 피격되었다. 그중 한발은 다행히 불발되었지만 37명이 사망하였다. 1988년 USS 새뮤엘 B. 로버츠 (FFG-58)함이 작전 중 소련제 M-08 기뢰로부터 공격당해, 선체 하단 헐(Hull) 부분의 용골이 휘면서 기관실에 315톤가량의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제원

 

단선체형(Short Hull)

장선체형(Long Hull)

만재 배수량

3,010톤

4,100톤

크기

135.6m/13.7m/4.9m

138m/13.7m/4.9m

승조원

200여명

추진

COGAG 방식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30 개스터빈 x2

1축 추진

속도

(항속거리)

29 노트(최대)

20 노트(순항)

(4,500nm[순항시])

무장

Mk.75 76mm 62구경장 x1

Mk.15 Block 1B 20mm CIWS x1

Mk.13 Mod 4 단장 발사기

(SM-1 미사일 퇴역으로 2003년부터 철거)

Mk.32 324mm 3연장 경어뢰 발사관 x2

Mk.38 Mod 2 25mm 기관포 x3(2003년부터 장착)

M2 12.7mm 50구경 중기관총

대응

AN/SLQ-32 (V) 2/5 EWS, Mk-36 RBOC, AN/SLQ-25 Nixie

지휘 무장 통제

JTDS carrier-based combat system

레이더

AN/SPS-49 (V) 2차원 대공 레이더, AN/SPS-55 대수상 레이더, Mk-92, SPG-60 STIR 사격 통제 레이더, SYS-2 (V) 2 통합 추적 시스템

소나

SQS-56 HMS, SQR-19 Towed Array

탑재헬기

SH-2F Seasprite

SH-60 Seahawk

 

 

1) 올리버 해저드 페리(Oliver Hazard Perry, 1785년 8월 23일 ~ 1819년 8월 23일)는 미합중국 해군 사령관으로 윌리엄 월리스의 직계 자손이다. 또한 일본의 문호를 강제로 개방시킨 매튜 캘브레이드 페리의 형이기도 하다.

2) 건물이나 선박을 건조하는 의미

3) G (그린란드) - I (아이슬란드) - UK (영국)을 잇는 NATO의 북대서양 잠수함 저지선

4) 이란-이라크가 페르시아 만을 지나는 유조선에 무차별 공격을 가한 기간

5) 함정이나 항공기에 승조한 장성급장교 또는 함장이나 기장 그리고 특정의 통제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술첩보를 수집, 전시, 평가 및 전파하는 인원과 장비를 구비하는 곳으로서 지휘관은 일부의 통제, 보조 및 협조기능을 전투정보실에 위임하는 수도 있음.

6) 폭약과 기폭장치를 넣은 금속제의 용기로 해중과 해저에 부설되어 항행하는 함선에 접촉 또는 감응하여 폭발함으로써 그 함선에 손상을 미치는 무기를 말한다.

7) 유체 중에 잠겨 있거나 떠 있는 기관을 제외한 배의 몸통. 배에서는 보통 수면 아래를 뜻함. 일반 부유구조물의 외곽 구조 형상을 가리키기도 함.

 

 

 

출처    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52&pn=1&num=1642&TOP_IMG_01